컨텐츠 내용
- 커뮤니티
- 즉문즉답
즉문즉답
질문의 배열, 이전 효과, 집중 배열 | 사*환 / 2020.02.12 | |
질문문항의 배열순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① 교육수준, 소득과 같은 항목은 중간에 배열한다. 이전 효과와 관련성 있는 항목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 질문의 배열은 정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시험을 기준으로 말씀 드리면, 인구통계학적 질문은 일반적으로 맨 마지막에 배치합니다. (시험 기준입니다.) 또한 어려운 질문, 민감한 질문의 경우에는 중간이나 맨 마지막에 배치하게 됩니다. 제 실무 경험에 의거하여 답변 드리면, 하지만, 교육수준, 소득으로는 모집단의 분포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맨 마지막에 배치하여 추후 집단 분류, 대표성 측면에서 활용하게 됩니다. 측정과 지표의 중요한 이론을 다시 설명드리면, 즉, 하나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하위 질문은 수렴타당도가 높아야 합니다. 사례로 회사 만족도라고 주어진다면, 가급적 하위 내용(연봉, 복지, 교통, 동료관계, 업무환경)을 모아서 질문해야 집중정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멀리 배치하면 응답자의 집중정도가 떨어져 오히려 좋지 않은 결과가 도출됩니다. 이전 효과란, 앞의 질문이 뒤의 질문에 영향을 주어 왜곡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전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를 살펴보면, 이러한 이전효과와 연속적 배열은 서로 상반된 의견으로 이전효과를 어떻게 판단하느냐? 가 조사지 작성자의 능력, 경험, 노하우가 됩니다. 제 경험상으로는 우선 질문 배열은 연속적으로 논리적인 배열한 뒤 제 경험상 연구목적을 위한 설문지 작성이 가장 어려운 과제입니다.
[작성자] 데이터캠퍼스(www.datacampus.co.kr), 사경환 |
이전 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다음 글 | 다음 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