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내용
- 커뮤니티
- 즉문즉답
즉문즉답
t-test 관련 질문입니다 | 김원표 / 2020.03.02 | |
############################################################################################# ## 본 Q&A는 과거 운영사이트(snscon.com) Q&A에서 좋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학습 목적으로 재정리하셔 업로드한 것입니다. ## ############################################################################################# Q. 대응표본 T검증을 해보았는데..전반적으로 인식보다는 수행이 평균점수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즉, 동일 문항(직무)에 대해서 전문성 정도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행 정도를 묻는 것인데. 인식하는 것에 비해 수행정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거의 대부분이 유의하다는 결론이 나오거든요...따라서 실질적으로 비교가 가능하려면..인식 1,2,3..들의 평균과 수행 1,2,3...들의 평균을 구한 다음 인식의 평균의 평균값과 수행의 평균의 평균값을 구한다음 일표본 T검증 통해서 검정값을 평균값+(인식의 평균 - 수행의 평균)으로 해서 구하면 안되나요? A. 문의하신 내용 중 '실질적 비교'를 '현실적인 비교'라고 보여집니다. 일단 어떤 연구든 간에 사람들이 생각하는 인식과 실제 수행 간의 차이는 어떤 연구든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일표본 t-test는 어떤 집단의 평균이 특정수(예를 들어 50점)과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방법인데, 결과는 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일단 각 문항간의 대응t-test가 아닌 인식 및 수행 문항의 평균을 구하고 이 평균값 간의 t-test를 수행하는 건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각 문항에 거의 유의한 차이가 있다면 평균 역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쨋든 인식-수행 두 개념 간 차이를 본다면 대응표본 t-test여야 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인식-수행 간에 차이는 당연히 크다는 것을 이해하시고 차이검증과 더불어 GAP분석을 통한 인식-수행의 차이가 커서 문제가 되는 항목 등을 도출하는 것도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
이전 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다음 글 | 다음 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