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내용
- 커뮤니티
- 즉문즉답
즉문즉답
척도 개발 연구를 하고 싶은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 김원표 / 2020.03.02 | |
############################################################################################# ## 본 Q&A는 과거 운영사이트(snscon.com) Q&A에서 좋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학습 목적으로 재정리하셔 업로드한 것입니다. ## ############################################################################################# Q. "스포츠센타 대학생 회원들의 관계효익 척도개발 및 타당화검증" 이라는 연구주제로 석사학위논문을 쓰고 있습니다. 척도개발하는데 있어 몇가지 여쭈어보겠습니다. 1. 국외논문에 이미 서비스분야에서의 관계효익이라는 척도가 있구요.. 물론 국내논문에서도 서비스분야(호텔,커피숍,..)의 관계효익 척도가 있구요... 하지만, 서비스분야에서 스포츠센타 관계효익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거든요... 그래서 논문주제를 정했는데.. 저처럼 서비스분야에서도 특히, 스포츠센타에서의 "관계효익"을 , 대상은 대학생으로 한정하여 척도를 개발해도 의미가 있는건지요? 2. 석사과정생이 척도개발을 하면 안되나요? 곧 교수님들앞에서 프로포잘하는데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지 걱정이네요..... A. 의미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어떤 이론과 그 주요 개념을 파악하기 위한 척도는 지역, 대상, 해당 영역에 따라 다소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기존 연구가 미비하다면 충분이 의미가 있습니다. 석사든 박사든 상관없겠죠 ^^; 이런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은 없습니다. 다만 척도개발수준의 연구는 박사급에서 많이 하죠. 왜냐면 과정이 체계적이고 타당한 연구설계와 분석방법이 적용도기 때문에 연구기간이 오래걸리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분명히 염두해야 할 점은 대충할거면 안하는게 낫다는 겁니다. 왜냐면 과정이 어렵고, 또한 대강하며 타당한 연구결과가 도출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척도개발은 전문가 면접 및 전문가델파이조사, 문항별 적합성 타당성조사, 영역별 타당성 조사, 모형적합도(연구모형 전체의 적합도 조사인 경우) 등 다양한 단계를 걸치면서 진행되어야 하며, 한 번의 통계분석으로 그치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계량적 통계방법보다는 질적 연구(면접, 델파이 등)를 통해 중요한 척도의 개념 및 문항을 개발하는 단계가 더욱 중요합니다. |
이전 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다음 글 | 다음 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