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내용
- 커뮤니티
- 즉문즉답
즉문즉답
확인적 요인분석에 대한 질문입니다 | 김원표 / 2020.03.02 | |
############################################################################################# ## 본 Q&A는 과거 운영사이트(snscon.com) Q&A에서 좋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학습 목적으로 재정리하셔 업로드한 것입니다. ## ############################################################################################# Q. 확인적 요인분석을 했는데요. 7개요인 23문항입니다. 근데 적합도 지수들이 너무 잘 안나와서요. 다른 논문들을 보니까 회귀가중치가 큰 문항을 삭제하고 적합도 지수를 올리는 방법을 사용하던데요. 적합도 지수를 올리기 위해서 정확히 Text output에서 어떤것을 보고 어떤 기준으로 문항을 삭제해야 하는지요..설명 꼭 좀 부탁드립니다.
A. 관측변수<--잠재변수의 다중상관제곱을 보고 관측변수의 신뢰을 판단합니다. 통상 0.4-0.5이상이면 만족하고 0.3이하면 제거를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전에 탐색적 요인분석/신뢰도분석을 진행하여 부적합한 문항을 걸러내야 적합도가 높아집니다. 정리하면 탐색적요인분석을 보다 철저히 해서 문항을 제거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시면 좀 더 타당성 있는 문항들이 선별됩니다. |
이전 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다음 글 | 다음 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