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내용
- 커뮤니티
- 즉문즉답
즉문즉답
요인분석시 아이겐값 설정에 대해서 | 김원표 / 2020.03.07 | |
############################################################################################# ## 본 Q&A는 과거 운영사이트(snscon.com) Q&A에서 좋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학습 목적으로 재정리하셔 업로드한 것입니다. ## ############################################################################################# Q. 어떤 검사의 52개 문항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해 보았습니다. 아이겐값을 1로 설정했을 때 총분산은 65%, 17개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Verimax는 실패했습니다. 아이겐값을 2로 조정하니까, 요인이 5개로 축소되고, Verimax가 실행되어 요인간의 구분이 명확하게 드러났지만, 총분산(설명력)이 35%로 축소되었습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이겐값을 2로 설정한 것을 활용할 수 있는지요? 답변>> 케이스수에 비해 변수의 수가 52개나 많아서 요인회전에 실패한 것입니다. 아이겐값을 2로 한다는 것은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단지 52개 변수 한 번 넣고 돌려서 실패하는 것보다, 회전 수를 기본설정인 25번에서 100번으로 늘린 후 요인적재치를 보고 부적합한 변수를 제거하면서 적합한 변수만을 골라내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아이겐값을 2로 늘리는 것은 별로 좋지 않은 방법입니다 |
이전 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다음 글 | 다음 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