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내용
- 커뮤니티
- 즉문즉답
즉문즉답
실무적 적정 표본수 (표본의 크기, 응답자 수) | 사*환 / 2020.03.15 | |
혹시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설문조사 참여율이 있나요? 회사에서 설문조사 분석중인데, 일반적인 설문조사 참여율과 그 근거를 가지고 오라고 하는데요.. KCSI? NCSI? 이런곳의 평균 설문 참여율을 알 수 있나요?
저희 회사 이용률이 아래와 같은데, 실무 적용이 잘 안되네요ㅠㅠ 아래가 저희 회사 평균 이용자수인데.. 외부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면, 통계적 근거를 갖고 자체 목표치를 세워도 될 것 같아서요 ㅠㅠ
답변) 설문조사 참여율은 시대에 따라 매우 낮아지고 있습니다. 표본수 산정을 위해 위 리스트를 다시 한번 정리하실 필요가 있어야 보입니다. 즉, 최종 1년 총합인 2,923,309명이 아닌 1년 동안 1회라도 이용경험 대상으로 다시 선별해야 합니다. 이메일 조사 하실려면 이메일 리스트를 기준으로 중복 제거 하시고, 잘못 입력된 이메일 주소 다 제외합니다. 예를 들어, aaa@ 와 같이 입력된거 nave.com 으로 한것도 다 수정 하셔야 합니다. 전화 조사 하시겠다면, 전화 리스트 모두 수집하시고 전화 조사의 경우, 동일인 경우 집전화와 휴대전화, 회사 전화 등이 중복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회원 ID를 기준으로 모든 전화 번호를 집, 휴대전화, 회사 전화 등 3개 컬럼을 새롭게 정리하시고, 그 다음 표본 크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유효 표본수의 10%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겠으나, 제 경험상 응답자 100% 답례품 (5천원 상당 모바일 상품권) 하면 대략 모집단의 8~10% 정도됩니다. 결론적으로 회원수, 표본수가 중요한게 아니라, 예산에 맞춰서 표본수를 산출하는게 더 현실적입니다. 온라인 조사에 한정한다면, 온라인 조사에 한정한다면,
다시 한번 강조 드리지만, 표본의 크기도 중요하지만, 예산과 조사 방법에 따라 표본의 크기를 산출하는게 더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합니다. 답례품 없이 조사 진행하시면, 오히려 회사 이미지만 더 나빠질 수 있습니다. |
이전 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다음 글 | 다음 글이 없습니다. |